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013년 Ya-an에서 발생한 지진: 개요 및 사후 반향

전문가 제언

2013년 4월 20일 규모(magnitude) 7.0의 지진이 Sichuan성 Yaan에서 발생하였다. 지진의 진앙 지는 Sichuan성 성도인 Chengdu로부터 약 115km 서쪽에 위치하는 Miaopingshang이라는 지역으로 진원의 깊이는 약 15km이다. 이곳은 2008년에 발생한 규모 8.0의 Wenchuan 지진 진앙 지에서 불과 85km 떨어진 곳으로 진앙에서의 진도(intensity) IX는 Wenchuan지진의 진도와 거의 같은 크기이다. 이 지진으로 반경 800km가 지진의 영향을 받았다.

 

지진 발생은 대부분 지질 및 지질구조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중국은 2개의 조구조(tectonic) 판의 접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지진대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지난 100년간 중국에서 발생한 큰 규모의 지진은 대개 중국 남서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 지역은 Longmen Shan 단층이라 불리는 거대한 지각 균열대가 발달하고 있는 곳이다.

 

Yaan 지진으로 통신서비스(social media)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었다. Yaan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통신서비스를 통하여 신속히 정보가 전달되어 재해 복구에 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지진이 발생한 시간이 오전 8시 2분이었는데, 8시 29분에 중국 국제구조팀은 중국 마이크로 웹사이트인 Weibo에 지진 상세 내용을 전달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희생자들을 위해 봉사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Weibo와 같은 통신 수단의 활용은 재난 구조에 매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우리나라는 판 경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대규모 지진 경험도 없기 때문에 지진 위험을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규모 5 이상의 계기지진은 1978년의 홍성 지진을 비롯하여 3~4회에 불과하며 지진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그러나 학자들의 역사지진 기록 해석에 의하면 삼국시대 이후로 규모 6 이상의 지진이 수차례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최근 한반도에 소위 L자형 지진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지금부터 지진재해 대응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때라고 사료된다.

 

저자
Q. X. Meng, W. Y. X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70()
잡지명
Natural Hazard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941~949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