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 광 증배관(Silicon Photomultiplier)
- 전문가 제언
-
○ graviton, neutrino 발견 등 고에너지 물리분야에서의 노벨상 수상에 크게 공헌하고 있는 ATLAS실험, KamioKande 실험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광전증배관을 공급한 Hamamatsu Photonics의 S. Ohsuka가 최근에 크게 진화하고 있는 실리콘 광 증배관에 대하여 해설한 보고서이다.
○ Geiger모드 APD(Avalanche Photo Diode)와 단일 광자 검출을 가능케 한 SPAD(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그리고 SPAD 수1,000픽셀(pixel)을 병렬 접속한 SiPM(MPPC: Multi Pixel Photon Counter)를 소개하고 있다.
○ PET/MRI 분야만이 아니라 양자상태의 광자수 상태계측과 양자난수발생기 및 Compton 카메라의 보급으로 방사성물질분포의 영상촬영에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 PET의 2010년 미국시장은 약 5.2조 원으로 5년 평균 16.7%로 증가하고 있고 한국의 PET시장도 2010년까지 150대가 도입되어 3,400억 원이 소요되었다. 이 가운데 약 10%가 광증배관 가격이다. 2012년 6월에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조성규 교수팀과 나노종합팹센터 설우석 박사팀은 공동으로 PET/MRI의 핵심소자인 SiPM의 개발에 성공했다. 광증배관 배율 100만 배를 실리콘 광증배관으로 실현시킨 것이다.
○ 독일, 일본 및 미국 등 선진국들만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한국이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한국의 반도체제조기술과 집적기술 및 디스플레이기술의 융합으로 의료영상분야에서 먹거리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게 되었다.
- 저자
- S. Ohsuk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83(4)
- 잡지명
- 應用物理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68~273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