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온 연료전지를 위한 폴리 벤즈이미다졸/인산 전해질 막

전문가 제언

연료전지에는 사용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모두 수소와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화학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추출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청정 재생 신에너지다.

 

양자 교환막 연료전지가 특별히 주목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으로 각광을 받기 때문이다. 지난 세기 말에 몇몇 선진 자동차업체에서는 이를 이용한 시제 승용차를 선보여 현재의 기술발전을 예견한 바 있다.

 

이제 연료전지를 장착한 자동차의 생산은 향후의 목표가 아니라 바로 눈앞의 일로 다가와 있다. 그간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연료전지를 얻기 위한 연구개발은 가히 소리 없는 전쟁이라 할 수 있었다. 지난 10여 년간 생산원가가 무려 80% 이상 절감된 것이 이를 반영한다.

 

현재의 연료전지는 100℃ 이하에서 작동된다. 이것의 효율과 내구성 향상을 위한 연구는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본 분석물의 주제인 “고온 양자 교환막 연료전지”에 대한 것은 물론,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촉매시스템의 개발이 그 예이다.

 

지난 10여 년 동안 국내에서도 국가적인 차원에서 연료전지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졌다.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등 출연연구기관은 물론 유수대학의 연구센터가 이에 참여하여 기반기술의 확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도 양자 교환막 연료전지를 생산하는 업체(퓨얼셀파워)가 둥지를 틀었고, 최근에는 대기업(두산)에 합병되어 연료전지 산업 전반은 물론, 곧 전기자동차를 출시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는 국내 자동차산업에도 영향을 크게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고온 양자 교환막 연료전지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다만 일부 과학자들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향후 기획 연구 프로그램이 탄생하기를 기대한다.

저자
S.Subian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63()
잡지명
Polymer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134~1144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