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섬유소재의 첨단의료용 재료에 대한 응용

전문가 제언

고분자 생체재료가 의료용으로 응용되고 있는 분야는 외과, 내과, 정형외과, 안과, 치과, 재활의학에 이르기까지 모든 의료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의료용 고분자분야는 인체 내에서 면역 거부반응 없이 반영구적으로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고분자 생체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핵심 기술이다.

 

고분자 생체재료를 사용한 인공장기와 약물전달체 등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고분자공학을 비롯한 재료공학, 생화학, 의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서로 복합적으로 협력하여야 가능하다. 의료용 고분자 기술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특성은 생체적합성과 멸균성, 기계적 및 물리적 성질과 함께 성형가공성도 매우 중요하다.

 

의료용 소재 관련 기술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01년 기준 8,000억 달러로 보고된 바 있으며 그 증가추세는 매우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인공장기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으며 응용범위도 한층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생체적합성 고분자 재료를 사용한 인공장기의 사용은 머지않은 장래에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인공관절이나 인공장기의 수술이 시행되고 있지만 생체용 재료에 대한 연구개발은 아직 초보적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상당한 금액의 임플란트 관련 재료를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국가과학기술위원회도 21세기 선도 기술로드맵 자료 중에서 생체재료를 이용한 인공장기의 세계 시장규모가 급속도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의 생체재료에 대한 시장상황은 초보적인 단계지만 생체재료는 공학적 관점과 의학적 관점을 하나로 묶는 시스템으로서 서로간의 협력체제가 절실히 요구되는 분야다. 이 분야야말로 산학연 협력체제가 긴밀히 발휘되어서 외국 선진업체의 독점적 판매를 견제하고 국내환자의 치료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
Matsuo Tatsu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49(3)
잡지명
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72~184
분석자
이*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