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A 신증의 진단과 분류
- 전문가 제언
-
IgA 신증(IgA nephropathy: IgAN)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으로 아시아인에서는 모든 원발성 신사구체 질환의 30~45%, 백인에서는 30~40%를 차지하며 흑인에서는 발생률이 낮은 편이다. IgAN의 정확한 진단은 신장 생검시료(biopsy)의 관찰에 의해 행해지며 IgA 단독 또는 IgG, IgM 및 보체들과 함께 사구체 간질에 침착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IgA1의 경첩 부위(hivge region)에서의 저당화(underglycosylation)와 IgA1 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면역복합체의 형성이 IgAN의 주요 병인으로 작용한다.
IgAN의 임상 특성은 다양하여 단백뇨를 포함하기도 하는 소량의 혈뇨에서 다량의 혈뇨가지 관찰되며 일부 환자에서는 신증 및 신염 증후군의 징후를 보이기도 한다. 환자의 20~40%는 증상이 천천히 진행되어 초기 진단 약 10년 후에 최종단계 신장질환(end-stage renal disease: ESRD) 상태에 이른다. 많은 연구팀은 IgAN의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임상적 및 조직학적 증상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 저자
- Hsin-Hui Yu,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3()
- 잡지명
- Autoimmunit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56~559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