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A) 테일 평가: deep-시퀀싱에서의 통찰
- 전문가 제언
-
poly(A)테일의 세계적 연구는 기술도전에서 소외되어왔다. 최근 발전에서, 두 그룹이, 고-정밀도의 poly(A)테일-길이와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세계적으로 얻을 수 있는 ‘deep sequencing’을 개발하여, mRNA 대사에서의 poly(A)테일 기능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이 방법의 최초 적용에서, poly(A)테일 길이와 번역적 효율성 간의 관계, 그리고 3’말단 전사에 만연된 우리딘-화와 구아닌-화 확인에 대한 통찰을 밝힌다.
진핵세포의 대부분 성숙 mRNAs의 3’말단을 구성하는 poly(A) 테일이, mRNA 안정과 번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잘 정립되었다. poly(A) 테일 길이 조절은, 초기발육, 염증, 습득과 기억 같은 과정에서의 유전자발현에 영향한다. 개별유전자 poly(A) 테일 길이가 생화학적 방법으로 정확히 측정될 수 있지만, 과거의 전장게놈 분석으로는 한계가 있다. deep-시퀸싱 기술 출현으로 RNA 연구가 풍성해졌다. 그러나 단일중합체(동일 뉴클레오티드 스트링) 시퀀싱의 어려움은 deep-시퀀싱에 의한 정확한 poly(A)테일 길이 측정을 방해하였다. Subtelny 등과 Chang 등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두 방법을 개발하였는데, 즉 시퀀싱(PAL-seq)과 TAIL-seq에 의한 poly(A) 테일 길이 프로파일링이다. Illumina 플랫폼에 대해 고안된 두 방법에는, cDNA 라이브러리를 마련하는 대체로 유사한 전략이 수반된다. 주요 차이는 시퀀싱 단계이다.
- 저자
- Dinghai Zheng and Bin Tian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39(6)
- 잡지명
- Trends in Biochemical Scie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55~257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