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서쪽 남극 대륙의 잠재된 해양 빙상 붕괴

전문가 제언

남극대륙 Amundsen 해안을 따라 계속되는 빙하 용해는 해수면 상승에 대한 남극의 영향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빙하 용해의 많은 부분은 주변 대륙붕 위에 흐르는 따듯한 순환심층수(CDW: Circumpolar Deep Water)의 증가 현상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빙상(ice sheet)을 지탱하며 떠 있는 빙붕(ice shelf)을 녹인다. 얇아진 빙붕은 내륙으로부터의 빙하흐름을 억제하는 힘이 약해지고 바다로 향한 빙하 방출이 증가되게 작용한다.

 

Thwaites 및 Haynes 빙하(이하 Thwaites 빙하로 통칭)는 해수면 변화의 최대 영향 인자 중의 하나이며, Amundsen 해안 빙하 손실에서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이 빙하와 바로 인접에 위치하고 급속히 녹고 있는 Pine 섬 빙하는 몇 십 년 전에 이미 잠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인 것이 확인됐다.

 

현재 Thwaites 빙하의 ‘그라운딩 라인(grounding line; 빙하가 바다에 도착되어 떠있는 장소)’은 해수면 아래 약 600m의 해안 턱에 멈춰 있다. 내륙에서 60~80㎞ 떨어진 곳에서 이 턱은 해양 빙상을 불안정하게 만들며 깊은 해양분지를 향해 무너져 내리고 있다. 빙하 방출은 그라운딩 라인의 두께에 비선형적으로 비례한다. 여기에서 빙상 베드(bed)가 해수면 밑에 위치하고 내륙 방향으로 비탈진 곳이 불안정하다. 이에 따다 처음 발생된 깊은 바다 속을 향한 후퇴(retreat)가 두께를 더 얇게 녹여 후퇴를 반복시키는 악순환을 만든다.

저자
Ian Joughin, Benjamin E. Smith, Brooke Medley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14
권(호)
344()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735~738
분석자
이*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