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후 핵연료의 반응성 가스 재순환에서 XeF2 불화제의 활용 가능성
- 전문가 제언
-
○ 핵분열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원소는 주로 우라늄-235이며 천연우라늄 속에 약 0.7%가 함유되어 있다. 우라늄-235를 수% 정도로 농축하여 안정적인 산화우라늄으로 전환시킨 것이 핵연료이며 나머지는 천연우라늄의 99.3%를 차지하는 우라늄-238로 구성된다. 원자번호 92의 우라늄-235가 핵분열하면 대개 2개의 핵종으로 쪼개져 핵분열생성물이 되는데 300개 이상의 핵종이 관찰되며 아연(원자번호 30)에서 디스프로슘(원자번호 66)까지, 질량수 72-161 범위의 핵종들이 분포된다.
○ 1차 핵분열생성물은 안정적인 핵이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련의 방사선 붕괴(알파선, 베타선, 감마선)를 겪은 후에 안정적인 핵으로 변환되는데 예를 들면 베타선 붕괴의 반감기는 브롬-90의 1.6초에서 요오드-129의 181.9년의 범위를 보인다. 또한 핵분열생성물 생성비율이 6.3%인 요오드-135는 6.57시간, 6.09%인 세슘-137은 30.17년, 6.29%의 Zr-133은 150만년, 0.16%의 Pd-107은 650만년 등으로 반감기 분포가 다양하다.
○ 따라서 사용 후 핵연료는 다량의 방사선 붕괴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고준위 방사성물질이다. 그러나 그 속에는 우라늄-235가 0.9%로 천연우라늄보다 많고 우라늄-238이 변환된 플루토늄-239(우라늄-235와 같은 핵분열물질)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를 추출하여 재활용할 필요성이 높다. 또한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방사능의 세기와 반감기별로 처리/처분할 필요성도 있기 때문에 사용 후 핵연료의 재처리는 극히 필요한 사안이다.
○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원자력기술의 자립을 위해 노력해 왔고 대부분의 주요기술을 확보/개량하여 아랍에미리트, 요르단 등 해외에 수출까지 하고 있다. 그러나 핵연료 재처리기술은 핵폭탄의 원료가 되는 플루토늄-239 추출과 관련하여 핵 확산이라는 정치적인 문제가 걸려있다.
○ 현재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을 중심으로 대학 등에서 실험실 수준의 기술을 파악하고 있지만 이를 공학적으로 확대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순수플루토늄 추출이 어려워 핵 확산 문제가 거의 없는 pyroprocessing(고온야금법의 건식재처리)을 통해 원자력의 개발과 지속에 필요한 재처리기술을 실용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저자
- D. Inabinett, T. Knight, T. Adams, J. Gray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76()
- 잡지명
- Progress in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06~111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