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의 평가치 측정과 해석
- 전문가 제언
-
인간 대상의 생체측정에서 측정항목을 “정확히 적절하게 측정한다.”라는 점과 그 측정항목에서 “개체차의 존재”라는 두 개의 과제가 있다. 이 양자를 만족시켜서 처음으로 생체측정이 의미 있는 것으로 되었다. “정확히 적절한 측정”에는 먼저 생체의 무엇을 측정하면 좋은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의 체온”을 측정할 때 어느 온도가 체온이라고 할 수 있는가, 중추온도나 심부온도는 어느 온도인가와 같은 검토이다. 실제측정에서는 최대치와 최소치의 설정은 당연한 것으로 측정기기의 추종성, 결국 주파수특성, 따라서 입력 임피던스에 주의를 해야 한다.
다음에 “개체차의 존재”에 대하여 설명하면 생체가 다양하고, 성별을 비롯하여 연령, 신장, 체중, 기초대사, 최대 산소섭취량 등 변동이 크고 심박수 측정도 0세 아이와 20세에서는 다르게 된다. 생체측정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성을 고려해 피험자의 설정에서부터 고려해야한다. 이런 것을 고려하여 이글에서는 생체에서 평가치 측정과 해석의 어려움에 대하여 기술한다.
- 저자
- Fumihiro Tajima,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117(1145)
- 잡지명
- 日本機械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228~231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