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반응증류 프로세스의 설계 사례

전문가 제언

Asahi Kasei사는 2002년 대만의 Chimei-Asahi사에서 CO2로부터 PC (polycarbonate) 수지를 제조하는 세계 최초의 상업화 플랜트를 건설했다. 이 프로세스는 환경면, 코스트면 및 품질면에서 기존의 포스겐법을 능가하는 기술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리뷰에서는 이 프로세스의 완성에 있어 가장 높은 기술 장벽이었던「반응증류 프로세스의 개발」에 대해 개설한다.

 

PC 제조공정은 독일 Bayer사가 1959년 최초로 포스겐법으로 공업화한 이래 전 세계 6개사만이 제조해왔다. 이 포스겐법은 환경면, 코스트면, 제품 품질면에서 5가지 문제가 있다. 그 문제는 ①맹독성 포스겐의 대량 사용, ②변이원성의 우려가 있는 염화메틸렌의 대량 사용, ③유기물을 함유한 대량의 해수처리, ④염화물에 의한 장치 부식 및 ⑤PC 수지 중의 염소계 불순물의 잔존 등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포스겐법이 주력 프로세스이었던 이유는「비포스겐법」에서의 높은 기술 장벽을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저자
Tomoyoshi Kuga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78(2)
잡지명
化學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9~101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