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 집수지 동역학
- 전문가 제언
-
수문학에서 수문시스템 간의 연관성을 설명할 때 연결성(connectivity)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최근 이 용어가 수문학뿐만 아니라 지형학에서도 흔히 쓰이고 있는데, 이는 사면이나 하천 네트워크에서 물의 흐름, 퇴적물 이동, 영양소 이동 등이 상호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형 변화나 수문 작용 등은 대부분 구조적 또는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조적 연결이란 사면, 수계, 범람원 등과 같이 물질의 운반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간적인 지형의 연결성을 의미한다.
반면 기능적 연결성이란 시간적 의미를 갖는다. 즉, 시간이 지나면서 지형 형태를 변화시키는 물질 유동과의 관련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의 두 가지 용어인 구조적 연결성과 기능적 연결성을 합쳐 수문-지형적 연결성이란 용어로 수렴할 수 있다. 생태학에서도 서식환경에 미치는 인간의 영향을 이야기할 때 연결성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지형 환경을 변화시키는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소규모 집수지(catchment) 환경에서의 수문-지형적 연결성에 미치는 인류학적 영향을 조명하였다.
- 저자
- Roey Egozi, Judith Lekach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212()
- 잡지명
- Geomorph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