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원소 대체소재 실용화의 최전선
- 전문가 제언
-
현대사회를 지탱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기능이나 촉매기능은, 특정 원소능력을 확인하고, 그 원소능력을 최대한도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크게 발전시켜 왔다. 구체적으로는 투명전극, 발광소자에 있어서 인듐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많은 촉매기능에서는 백금이 크게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인듐, 백금 등은 희소원소로서 원소에 의뢰하는 산업 및 학술연구는 장기적 전망을 가지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필자들은 2008년도부터 2012년까지 산학관연휴형 원소전략프로젝트에 참여(과제명: 재료 유비쿼터스 원소 협동전략, 대표자: Hideo Hosono)하고, 많은 원소(유비쿼터스 원소)를 이용한 재료를 개발했다.
경원소를 중심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원소는 자원이 풍부하고, 그의 재료화는 희소금속 대체를 위해서 유용하다. 더욱 이들의 원소그룹은 환경조화성이 우수할 뿐만이 아니고, 생체에도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원소를 이용한 기능재료는 기성재료에 있어서 희소금속 대체에 멈추지 않고, 일정한 폴리머를 필요로 하는 용도 등, 지금까지는 희소금속이 가지는 기능성의 이용이 상정되지 않았던 응용을 생성시키는 퍼텐셜을 가지고 있다.
- 저자
- Tomofumi Suzaki, Hideo Hosono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62(5)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3~26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