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2와 바닷물로부터 포름알데히드의 고-수율 전기화학적 생산
- 전문가 제언
-
연소의 에너지 원천과 플라스틱이나 산업원료생산의 원천으로서 이에 대한 높은 신뢰로 때문에 화석연료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연소공정의 최종제품은 CO2이기 때문에 자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사회의 관점에서 CO2 역-전환과 이들의 이용은 중요한 연구 분야의 하나이다.
화석연료 대체물로서 CO2이용은 생태학적 및 경제적 관점에서 전망이 높고 외부에너지자원을 이용하여 CO2와 물과의 반응은 인공광합성의 간단한 모델로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이는 화학자들에게 합성화학제품제조를 위한 모델로서 자연발생적 탄소고정 공정 활용의 목표가 되고 있다.
CO2를 요구하는 제품으로 효과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활성 메커니즘과 반응조건을 찾아야한다. 다양한 가능한 접근가운데 전기화학적 환원은 이는 반응조건에 의해 쉽게 조절 될 수 있고 물을 탄화수소생산을 위한 전자와 양자의 두 원천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전망이 높다.
대기압 또는 고압조건 하에서 반도체 또는 다른 금속전극을 사용하여 포름알데히드, 메탄올, 메탄과 같은 더 높은 환원제품을 얻지만, 금속전극을 사용한 CO2환원 제품은 대부분 CO 또는 포름산이다. 그러나 CO2분자에 직접전자이동은 높은 과 전위를 요구하며 이는 수소발생과 경쟁적 공정으로 CO2환원효율을 감소시켜 성공적인 CO2환원을 위한 효율적인 촉매가 필요하다.
- 저자
- Kazuya Nakata, Takuya Ozaki, Chiaki Terashima, Akira Fujishima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3()
- 잡지명
-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71~874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