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구역 환경평가의 생태학적 지표
- 전문가 제언
-
효율적인 생태지표(bioindicator)는 생태계의 건강성과 환경조건을 용이하게 해석하고 기술해주는 표지이어야 하므로, 환경관리인에게는 매우 가치성 높은 결정 수단(decision tool)이 되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생태지표는 정치인과 이해관계자 및 공중과 국민에게 생태계의 환경생태학적 건강성을 단순하게 전달해주는 표지이어야 한다. 더욱이 생태계의 건강성을 전달하기 위하여 문자표시 등급(letter grade)이나 색상표시 코딩(color coding) 및 지도화(mapping) 등과 같이 개념적으로 단순한 전달 기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다중척도 생물지수(multimetric biotic index)는 생태지표를 수치적/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수이고, 세계적으로 지구적으로는 하천/호수/하구역 및 연안 해역을 포함하는 수역 생태계의 건강성을 정량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중척도 기법에서는 생태계의 환경조건을 개괄하기 위해 정량적인 지수 스코어(index score)를 적용하여 기술적(descriptive)으로 범주화(category)하고 있다. 즉, 높음(high)~안좋음(bad)의 상태로 범주화하거나, 알파벳 등급으로 범주화 하는 것이다.
- 저자
- Chris S. Hallett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39()
- 잡지명
- Ecological Indicato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4~87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