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사성 알칼리증의 원인과 치료

전문가 제언

대사성 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은 혈중 중탄산 이온(HCO3) 농도의 상승에 의한 산, 염기 평형장해 이다. 「HCO3」의 정상치는 22~26mEq/L이고, 27mEq/L 이상 시에 대사성 알칼리증이 존재하게 된다. 「HCO3」는 신장의 사구체에서 여과되어 그 대부분이 근처에 있는 세포외액의 뇨세관 에서 재흡수된다. 그 여과와 재흡수의 균형에 의해 세포외액의 산 염기 평형은 유지하게 된다. 대사성 알칼리증은 어떠한 원인에 의한 「HCO3」의 산생 혹은 배설 기구에 문제를 일으키는 증세로 생각된다.

 

구토와 위관(nasogastric tube)의 흡인에 의한 위액의 상실은 위액에 함유된 염산이 체외로 배설되기 때문에 대사성 알칼리증의 원인이 된다. 이는 수소이온(H)뿐 아니라 염소이온(Cl)의 상실에 의한 것이다. Cl의 결핍으로 신장의 뇨세관에서의 HCO3의 재흡수가 증가되어, 혈중 「HCO3」가 상승하므로 대사성 알칼리증을 일으킨다. 한편 Stewart approach에서는 더욱 단순한 Cl상실을 강이온 차(strong ion difference, SID)의 상승으로 포착되어 알칼리 혈증의 설명을 하고 있다.

저자
Kyoko Shiozaki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65(6)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927~1929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