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농업에서 다년생 콩과작물의 간작에 의한 잠재적인 환경편익

전문가 제언

변화하는 세계에서 증가하는 주민에게 식량을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므로 과학자들과 농부들은 많은 종류의 가치 있는 친환경농업기술을 개발해왔다. 여기에는 콩과식물 또는 다년생작물 재배, 다모작시스템 도입, 보존형 경운(tillage), 통합된 작물-가축시스템과 유기질비료사용이 포함된다(Gomiero 등, 2011; Branca 등, 2013).

 

현 단계에서 도전사항은 많은 기술을 단순하고 실행 가능한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다. 저자들은 실행 가능한 후보물질로 안정된 작물인 다년생 콩과식물의 간작(IACPL: Intercropping of Annual stable Crops with Perenial Leguminous plants)을 제안한다.

 

광물영양염의 유입감소가 IACPL을 도입하는 주요 편익일 수 있다. 다년생 콩과식물에 의한 생물학적 질소고정은 비료사용을 대체할 수 있다. 많은 다년생 콩과식물의 질소고정용량(자주개자리의 경우: 90~340㎏/ha·y)은 일년생콩과식물의 그것(대두의 경우: 45~300㎏/ha·y)보다 더 높다(Werner, 1992).

저자
Kaixian Wu et al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88()
잡지명
Agriculture, Ecosystem &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7~149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