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출판에 대한 젊은 과학자들의 견해
- 전문가 제언
-
Anurag A. Agrawal이 최근에 Trends in Plant Science에 연구자들이 공개출판(Open Access)으로 발행하기를 선택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4가지를 제안하는 내용을 발표했다. 비록 공개출판의 장단점에 대한 하나의 비판적 평가는 보장되고 또 중요한 일이지만 다음 3가지 문제점은 OA에 관한 토론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첫째 OA와 OA publishing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아는 한 연구비 지원기관이 지원한 연구결과가 OA로 발행되기를 요구하지 않는다면 그 결과는 누구든 자유롭게 접근하여 읽을 수 있게 되어야 한다. 이것은 “ green OA”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교열하기 전 마지막 원고(final version of manuscript)가 공공에 개방된 상태로 저장되어있거나 또는 “gold OA”상태 즉 저자가 교열된 마지막 원고를 발행자가 공공에 개방할 수 있도록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이다. 논문을 green OA 또는 gold OA로 발행하는 것을 연구자에게 이 연구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모든 사람과 기관을 포함하는 구독요금을 지불할 여유가 있는 사람이 아닌 모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OA출판에 대한 동기는 특히 Agrawal의 OA논문이 보다 자주 인용되지 않는다는 세 번째 포인트를 고려할 때 특히 중요하다.OA논문의 인용비율에 대한 모든 연구가 이런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인용률이 올라가는 것이 목표는 아니다. 오히려 OA의 의도는 학계나 또는 학계 밖의 사람들에게 발행된 재료의 정보와 재 사용가능성을 보다 더 넓게 전파하는 것이다. 이것의 성공은 OA대 비 OA출판에 대한 보다 높은 다운로드 숫자에 의해 알 수 있다.Conservation evidence 같은 새로운 시도가 발행 출판된 논문에 포함된 과학적 결과에 큰 흥미를 보인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점에서 보면 OA출판이 작용하고 있다고 본다.
- 저자
- Alecia J Carter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19(6)
- 잡지명
- Trends in Pla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339~340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