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 반응을 하려는 중간체들
- 전문가 제언
-
알켄의 오존과의 반응은 지구의 대류권에서 알켄을 거의 완전히 제거하는 메커니즘이다. 이 반응은 반응성 중간체, 산화카보닐을 형성하는데 이를 오존분해에서 이 메커니즘의 역할을 설명한 Rudolf Criegee의 이름을 따서 Criegee 중간체라고도 한다. 산화카보닐은 대기의 HOx와 NOx 사이클에 기여하고 에어로졸 형성에도 참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러나 가스-상의 Criegee 중간체를 직접 연구할 수 있게 된 것은 산화카보닐을 생산하는 효율적인 실험실적 방법이 나온 이후인 극히 최근이다. 오존분해에서 그 반응성과 형성과정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오랜 연속된 조심스런 간접 측정으로 안정된 오존분해 생성물 수율로 반응물 농도 변화를 결정하여 축적해 온 것이다.
오존 반응은 지극히 복잡한 반응들의 망을 이루며 그래서 한 특정 반응의 추정은 그 반응 망의 다른 부분에 대해 무엇을 알며 어떻게 가정하나에 좌우된다. 따라서 오존분해 시스템의 고유한 반응들은 실험실에서 Criegee 중간체 반응의 모든 간접 측정에서 특히 중요하다. Lin, Lee와 그들의 동료들은 그것의 측정 및 계산으로 그 고유한 중요 반응 중 하나가 놀라울 만치 빠른 속도계수를 가졌음을 보여주었는데 그것은 가장 작은 Criegee 중간체인 산화폼알데히드(CH2OO)의 자기-반응이다.
- 저자
- Craig A. Taatjes, Dudley E. Shallcross, Carl J. Perciv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6()
- 잡지명
- Nature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61~462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