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손상을 치료하려는 신약(PDE4D 억제제) 개발 전략
- 전문가 제언
-
1. PDE4D 억제제의 성상
○ 체내의 신호전달 경로에서 두 번째 전달체(messenger)인 cAMP와 cGMP가 중심 역할을 하는 것은 확실하며, 이들의 세포 내 수준은 포괄적 패밀리(family)의 가수분해 효소인 포스포디에스테라제(phosphodiesterase, PDE)의 작용에 의해서 조절된다. 이들 중에서 PDE4 과는 cAMP에 특이적이며 체내의 대부분 부위에서 표현된다.
○ 최근 15년간의 연구에서 신경 장애 치료를 위하여 PDE 저지로써 뇌내 cAMP를 상승시키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cAMP의 가수분해를 방지하여 PDE4 저지물들이 세포 내 신호 전달을 높이게 되며 최종적으로 PDE4D가 핵심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 이성체는 rolipram과 같은 범 PDE4D 억제제에 의한 구토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저자
- Olga Bruno,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85()
- 잡지명
- Neuropharma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90~292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