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관제 업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HI 설계 가이드라인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항공관제 시스템은 항공기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할 수 있도록 항공관제관(air controller)에 각종 항공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총칭으로, 사회의 중요한 하부구조(infrastructure; 인프라)의 하나이다. 항공관제 시스템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관제관을 포함하는 운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일본의 NEC(Nippon Electric Co. 일본전기)는 휴먼인터페이스(Human Interface; HI) 설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의 기반으로 이용하고 있다. 본고는 NEC가 수행하고 있는 항공관제 시스템과 HI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활동을 소개하였다.
항공기를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해서 항공관제관은 항상 많은 정보를 다루면서 상황판단을 수행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항공관제 시스템이라 하면 항공관제관이 레이더 화면에 나타난 항공기 영상을 보면서 파일럿에 각종 지시를 하는 레이더 관제 테이블 등을 연상한다. 하지만 항공기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비행 계획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위치라든가 고도뿐만 아니라 경로상의 기상조건과 혼잡 상황 혹은 활주로의 공사 예정에 이르기까지 각종 정보가 시스템에 의하여 처리되며 수시로 관제관에 제공된다. 이들을 제공하는 정보처리 시스템과 항공기를 포착하는 레이더 등의 총칭이 항공관제 시스템이다.
- 저자
- IKEGAMI T.,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66(3)
- 잡지명
- NEC 技報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4~67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