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공형 금속분말 적층조형장치 개발
- 전문가 제언
-
주식회사 Aspect와 산업기술종합연구소 선진제조프로세스연구부는 2010년부터 개시한 독립행정법인 신에너지·산업기술총합개발기구(NEDO)의 위탁사업 [차세대 소재 등 레이저 가공기술개발 프로젝트]에 대해서, 차세대 레이저 가공기술연구소(ALPROT)의 일원으로 금속분말 적층조형장치에는 전례가 없는 파이버 레이저를 탑재하여 조형환경을 고진공으로 한 금속분말 적층조형장치를 연구개발 해왔으며, 여기서는 현재 연구개발 상황에 대하여 소개한다.
에너지와 자원 절약 관점에서 제품의 경량화, 박육화를 위하여 고강도화 설계가 진행되어 Ti이나 Al 합금 등의 경금속 분말재료를 사용한 적층조형장치에서 부품의 시험 제작, 또는 소량 다품종 생산 수요가 매년 높아지고 있다. Ti합금이나 Al합금은 대단히 산화하기 쉬운 성질이 있기 때문에 용접 시에는 주위 환경에서 가능한 한 산소를 배제하는 것이 조형품질을 높여줌과 동시에 안정화하는데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한편 3D데이터로부터 금속분말에 레이저를 직접 조사하여 용융시킴으로서 최종제품을 조형할 수 있는 금속분말 적층조형장치(Direct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Equipment)는 요즘 실용화 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유럽에서 연구개발이 진행 되어 지고, 일본 국내에서는 주식회사 Matsumura 기계제작소 1개소가 Panasonic 주식회사의 특허를 받아서 제조하고 있는 금형 제작용의 금속광조형복합가공시스템의 1기종에 머물러 있어서 그다지 연구개발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 저자
- M. HAGIWARA,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1(5)
- 잡지명
- 粉體およぴ粉末冶金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23~226
- 분석자
- 황*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