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자분산강화 고장력강의 석출입자 해석
- 전문가 제언
-
자동차에서는 충돌안정성의 확보와 연비절감을 위하여 고장력 강판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용 강판은 프레스 성형으로 가공되어 적용되기 때문에 고강도와 고성형성의 양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강으로 연성이 좋은 페라이트 기지에 나노사이즈의 Mo-Ti복합탄화물 입자를 석출시키는 조직제어에 의해 고강도와 고성형성을 겸비한 고장력강으로 입자분산강화강이 있다. 이와 같은 조직과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탄화물 입자의 석출률, 석출물의 수밀도(number density), 석출물의 입자간 거리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나노사이즈 입자는 종래의 화학적인 석출물추출 정량법으로는 여과에 문제가 있어 정확한 정량이 곤란하다. 따라서 XAFS법(X선 흡수미세구조법)으로 강중 원소의 석출률을 평가하고, TEM관찰에 의해 석출물의 형상과 크기를 평가하여 두 결과를 조합함으로써 석출물의 수밀도를 구한다.
- 저자
- Yuji Tanaka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19(2)
- 잡지명
- ふえらむ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26~128
- 분석자
- 심*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