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실파리의 광역방제
- 전문가 제언
-
아프리카 대륙에서 과실파리 Bactrocera invadens 존재가 2003년 케냐에서 처음으로 발표되었고 이어서 다른 나라로 확산되어 현재는 아프리카 남부와 서부 및 중앙과 동부까지 확인되었다. 주요 숙주식물은 망고이나 일부 다른 과일도 공격하고 있으며, B. invadens 공격으로 망고의 생산량 손실은 10~ 80%까지 다양하지만 그 밖의 과수원에서 보고되지 않은 가치는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과일생산 손실이외에도 B. invadens 존재는 서브사하라 국가는 물론 세계 다른 나라와의 과일무역에도 장벽이 되고 있다. 불임 충 방사법(sterile insect technique, SIT)은 종 특이적인 친환경해충방제로 통상 복제곤충에 적용하며, 해충방제의 유전학적 형태로서 산아제한(birth control)으로 자주 인식되는 것은 야생 암컷의 생식을 차단하기 위해 불임 수컷을 대량으로 방사하기 때문이다.
수컷파리는 포장에 방사하기 전 적절한 방사능에 노출시켜 불임상태를 만드는데, 이 SIT 기술은 수많은 핵심해충의 광역 종합병해충방제(area-wide integrated pest management, AW-IPM) 프로그램에 주요 구성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SIT는 검정파리과 Cochliomyia hominivorax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tephritid 과실파리의 세계적인 방제일부로 활용되고 있다.
- 저자
- C.E. Ogaugwu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70()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24~527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