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자기 저항 효과를 나타내는 단순 금속
- 전문가 제언
-
동(Cu)선을 자석에 접근해 전기저항을 측정해 보면, 전기저항은 어떤 변화를 할까? 실제는 동의 전기저항은 자장 중에서는 약간 증가한다. 이와 같이, 전기저항이 자장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을 자기저항 효과(Magneto Resistance)라 한다. 지가저항 효과는 자기적인 정보를 전기적인 정보로 변환하기 때문에 자기센서로 응용할 수 있다.
실제, 자기저항 효과를 이용한 센서는 자기디스크의 정보를 판독하거나 자동판매기에서의 지폐를 식별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고, 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자기저항 효과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관찰하고, 최근 일본 Ktoto대학에서 발견한 단순금속에서의 거대한 자기저항 효과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자장에 의하여 전기저항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자장과 전도전자 상이에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으로서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으로 유명한 로렌쯔의 힘(Lorentz's force)을 먼저 생각이 떠오른다. 로렌쯔의 힘이란 자장 중에서 운동하는 전자에 전자의 속도와 자장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이다.
- 저자
- Shingo Yonezawa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2(1)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0~31
- 분석자
- 김*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