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표면 전하의 나노척도 변화 측정

전문가 제언

우(雷雨)는 자연에서 가장 경외감을 주는 광경 중 하나이다. 번개는 구름에서 구축된 엄청난 양의 전하가 어둠을 관통하여 지구로 내리친다. 번개가 없을 때도 구름내의 정전기는 지구표면의 전하분포에 영향을 준다. 지상의 국소 지역과 그 지역에 있는 모든 물체에서 전자가 많아지거나 줄어들어 바로 위에 있는 구름의 전하와 부호가 반대인 국소화 된 순 전하량이 발생한다. 구름의 하층은 대부분 음(-)이지만 전하밀도는 다르다.

 

폭풍이 위로 지나가면 지상의 상보적 전하변화에 의해 반영된다. 전하 재분포를 촉진하려면 전류가 흘러야한다. 따라서 지구상의 정해진 위치에서 전류를 모니터링하면 통과하는 폭풍우 구름의 전하밀도를 매핑 할 수 있다. Hong 등은 이것과 꼭 같은 측정을 대규모 폭풍우에서가 아니라 무기재료의 표면에서 나노척도의 전하변화를 구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발명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저자
J. Marty Gregg and Amit Kumar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14
권(호)
510()
잡지명
Nature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481~482
분석자
박*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