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북반구 해양의 어획환경 변화
- 전문가 제언
-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에서 북위 40도 이상부터 북극전선(Arctic fronts)까지는 냉온대(cold-temperate) 해역으로서 어획량의 보고이다. 특히 북극해에 인접한 태평양 쪽의 베링해(Bering sea)와 대서양 쪽의 바렌츠해(Barents sea)에 어획자원이 많이 분포해 있다. 베링해와 바렌츠해의 주요 어종은 각각 명태와 대서양 대구인데 기후변화에 따른 지난 10년간의 해수온도 상승에 대해 이들 두 어종은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구 중 가장 많은 것은 북동-북극 대구(NEA: Northeast Arctic cod, 일명 북극-노르웨이 대구)이며 바렌츠해에서 북극전선 및 노르웨이 남부까지의 해역에서 많이 잡힌다. 대구 어획의 연급강도(year-class strength)는 대구가 생장하는 첫해의 복잡한 생장과정에 의해 결정되는데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수온이 가장 중요하고 성장 초기의 따뜻한 수온상태에 따라 대구 어획의 연급강도가 결정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또한 높은 수온이 필요하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 저자
- Anne B. Hollowed and Svein Sundby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344(6188)
- 잡지명
-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84~1085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