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화철과 옥살산을 조합한 수중 유기물의 광분해

전문가 제언

α-Fe2O3, γ-Fe2O3 FeOOH 등의 철 산화물이나 수산화물은 반도체로 그 밴드 갭이 2.0~2.3eV이기 때문에 태양광에 의한 광활성이 기대된다. 실제로 이들 철 산화물은 Fenton반응으로 생성되는 수산기래디컬의 산화 퍼텐셜에 의해 수중의 유기물을 산화분해(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AOP는 철 화합물에 폴리카본산과 조합하고, 자외선이나 가시광을 쪼이면 더욱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다.

특히 옥살산(Oxalate, OA)이 효과적이어서 이로부터 bisphenyl의 광분해가 가능하다. 또 Fe-OA착체의 금속-배위자의 강한 전하흡수 밴드 때문에 가시광에서의 광분해가 가능하다는 보고도 있다. 여기에서는 Pechini법으로 조제된 산화철을 각종 온도에서 열처리하고, OA와 조합시킴으로써 태양광에서도 수중 유기물의 광분해가 가능하다고 생각하여 메틸렌 불루(MB)를 분해대상으로 하여 이들 특성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에 대해 검토하였다. 즉, 산화철-OA수용액 중에서의 유기물의 광분해에 관련되는 인자들 중에서 산화철의 열처리온도(비표면적 및 구성상의 영향), 고/액비, OA농도, pH, 조사 광원의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저자
Sayaka YANAGIDA, et al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49(6)
잡지명
セラミ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69~472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