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대기오염 생물지표로서의 참새
- 전문가 제언
-
도시지역의 대기오염은 인간 건강과 야생동물에 대한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도시지역에서 살아가는 생물체와 유기체에 대한 도시지역의 대기오염 물질의 영향은 정확하게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도시지역의 대기 오염물질에 노출되고 폭로됨으로 인해 생성되는 산화성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신뢰성 있는 생물표지(biomarker)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구의 마을마다 보편적으로 서식하는 동네 참새(Passer domesticus)를 생태학적 지표(ecological indicator)로 이용할 수 있다. 참새는 세계적으로 어디서나 존재하는 조류이지만, 서식장소를 철마다 이전시키는 철새도 아니고, 인간 생활 지역에 따라 생활하는 특징도 갖고 있다.
도시의 대기오염은 지구적으로 세계적으로 심화되어가고 있다. 21세기 초에는 세계 인구의 60%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고, 차후 25년간 지속적으로 도시지역 거주 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도시지역은 건강한 환경을 대변해 주지 못하고 있다. 동시에 도시의 인구증가는 물/전기/도로/통신 등의 서비스 부문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량을 폭증시키고 있다. 그리하여 도시 생태계(urban ecosystems)는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크게 오염되어 가고 있다.
- 저자
- Amparo Herrera-Duenasa, Javier Pineda, Maria Teresa Antonio, Jose I. Aguirre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42()
- 잡지명
- Ecological Indicato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9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