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기의 오염해석기술
- 전문가 제언
-
인공위성 등의 우주기에서 오염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성능이 향상된 광학관측기기는 오염에 민감하여 미량의 오염 부착에 의해 본래의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여러 가지 유기재료(CFRP나 접착제, 도료 등)가 많이 사용된 우주기가 장기간에 걸쳐 궤도상을 주회하는 동안 유기재료 내부에 포함된 첨가제나 미반응 물질 등의 휘발성분이 서서히 표면으로 이동해 표면에서 탈리되면 진공 중에 방출되어 다른 면을 오염시킨다. 우주기의 비행 임무기간은 장기화하는 경향이 있어 오염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다.
우주기에서 탑재기의 성능은 수명 말기(End Of Life: ELO)까지 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 단계에서 미리 오염부착량을 예측하고 허용량이 넘을 때는 설계변경을 하는 등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세계 우주개발기관이나 우주기 메이커 등에서 높은 정확도로 오염부착량을 예측하기위한 전문적인 “오염해석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 저자
- Baba Susumu, Miura Yuka, Miyazaki Eiji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62(7)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3~25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