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B세포 림프종의 공격성을 조정하는 종양세포와 혈관계의 교신

전문가 제언

Notch 신호경로는 발생, 조직 항상성 및 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포유동물에서 Notch 신호체계는 4개의 Notch 수용체들(Notch 1에서 4까지)이, Delta-like(Dll1, Dll3, Dll4) 또는 Jagged(Jagged1, Jagged2)의 family들의 멤버인 리간드와의 상호작용으로 매개된다. 신호체계가 작동하는 동안 리간드와 수용체 결합은 막 내 수용체를 분해하여, 이를 핵으로 보내고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일으킨다. 암에서 활성화된 NOTCH1 돌연변이는 처음에 대부분의 T세포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에서 발견되었다. 여기서 두 종류의 돌연변이가 있는데, 하나는 세포 밖 이질 이합체 영역에서 점 돌연변이가 일어나 억제성 조절부위의 안정성을 붕괴시킴으로 Notch를 구성(constitutive) 활성화시키는 것이고, 둘째는 C-말단 REST 영역을 잘라버려 proteasome에 의한 분해를 감소시켜 활성 Notch의 반감기를 연장하는 것이다.

 

NOTCH 돌연변이의 활성화는 그 후 B세포 암의 여러 종류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만성 림프구 백혈병, 외투세포 림프종, 비장 변연부 림프종, 대세포성 림프종 등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경우 점 돌연변이는 NOTCH1이나 NOTCH2의 PEST degron 영역에서만 발견되는데, 이는 리간드-매개 수용체 활성화에 대한 감수성 증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더구나 특정한 악성 림프종에서 보고된 NOTCH1 돌연변이율 보다 훨씬 높은 빈도로 NOTCH1 활성화가 일어난다는 사실은, 이 병에서 Notch 신호체계를 활성화 시키는 다른 메커니즘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암시하는 것이다.

 

저자
Radojcic, V, Maillard, I,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5()
잡지명
Cancer Cell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61~263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