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에 따른 기억력의 변화

전문가 제언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일을 기억할 수 있는 능력은 해마(hippocampus)라고 부르는 뇌의 일부분에서 기인한다. 이 부분에 손상을 입으면 그 사람은 새롭게 일어난 일을 장기적으로 기억할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해마의 뉴런 네트워크가 어떻게 기억을 저장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Nature(504, 272-276, 2013)에 발표된 논문을 통하여 Donato 연구팀은 어떻게 새로운 경험이 해마의 기억기능을 변경시키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기억을 증진시키거나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해마 뉴런들이 경험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해마 네트워크의 뉴런들은 흥분성(excitatory)과 억제성(inhibitory)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흥분성 뉴런들은 정보의 주 전달자로서 해마 네트워크를 뇌의 다른 부분과 연결한다. 억제성 뉴런들은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인 GABA를 방출하여 흥분성 뉴런들의 활동을 조절한다.

 

Donato 연구팀은 최근의 경험이 어떻게 칼슘 완충(calcium-buffering) 단백질인 파브알브민(parvalbumin)의 발현에 관여하는 억제성 뉴런들에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뉴런들은 전체 해마 뉴런들의 5%에 불과하지만 뇌의 여러 뉴런 활동과 인지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에서 연구팀은 한 그룹의 쥐들에게는 보통보다 풍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다른 그룹의 쥐들에게는 전기충격을 가해 공포의 환경에 존재하도록 하였다.

저자
KEVIN ALLEN and HANNAH MONYER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13
권(호)
504()
잡지명
Nature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228~229
분석자
김*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