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반응기 및 촉매에 대한 최근연구 동향
- 전문가 제언
-
막(membrane)은 특정성분 만을 통과시키는 선택적 장벽으로서, 막 기능은 군집적 콜로이드 제거 및 특정원소 세정으로 대별된다. 이에 의해 물질의 선택적 이동/반응이 일어나도록 설계된 장치가 막 반응기로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일례로, 방사성폐기물 처리방법은 주로 막을 이용하는 역-삼투와 막-증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기/액/고상 3상 반응기인 생물여과 반응기는 여과과정에서 물질전달이 기상→액상 산소전달 및 용존산소-함유 액상-내 기질의 막 표면/내 확산/반응을 일으키는 한편, 폐수처리용 혐기성 막 생물여과 반응기에서는 고액분리와 함께 생물적 분해가 일어난다.
이외에, 침지막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새로운 고농도 유산균 제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형 촉매 막 반응기에서의 메탄 건식 개질 반응, 광-생물반응기에 의한 해조류로부터의 메탄/이산화탄소 생성 등에서의 매우 다양한 반응기 기능 향상과 막 소재 개량을 위한 많은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 저자
- Angelo Basile, Jose´ M. Sousa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39()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674~4675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