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생물공학 연구의 현주소
- 전문가 제언
-
환경 화학물질의 거동에 대한 연구는 대략 40년 전에 환경에서 상승하는 유독한 화학물질의 농도에 관한 과학적 발견과 공중의 인식과 더불어, 오염물질 변형/열화를 위한 미생물 사용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러나 세계적 산업화는 개방 환경에 유기/금속성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처분하게 되면서 다양한 오염물질이 누적되어 왔다. 어떤 특정한 화학물질들은 엄격히 통제되었으며, 그 농도는 자연적 분산/열화에 의해 감소되고 있지만, 그 이외의 화학물질들은 환경에서 생물학적 환경정화 공정에 의해 제거하려는 새로운 수단들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따라, 다양한 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미생물 배양실험 등 많은 시도가 추진되어 왔고, 생물학적 환경정화 산업이 실험실적 지식 및 석유를 먹는 박테리아인 슈퍼버그에 근거하여 구축될 수 있는 희망이 제시되었다.
- 저자
- Hauke Harms, Howard Junca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27()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9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