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에너지 생물공학 연구는 어디로 가나
- 전문가 제언
-
2050년에는 세계 인구가 71억의 17~54%가, 그리고 세계 경제는 4배로 늘어나면서 현재-대비 180%의 에너지가 소요되는 한편, 세계 온실가스 방출이 150%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비하여, 대규모 탄화수소 회수시스템에서 추출되는 석유자원은 증가추세인 에너지/연료 수요를 충족시키며, 대체 공급원료인 탄화수소는 대기탄소 문제해결에 큰 도움을 준다고 알려진 가운데, 생물공학은 지난 십여 년 동안에 세계 에너지 공급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지속가능한 전력원이 개인교통수단용으로 대처될 수 있는 반면, 항공 및 해운업에서는 아직도 대부분 액체연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이에 대비하기 위한 사탕수수/옥수수 에탄올 산업 등 생물연료 산업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저자
- Korneel Rabaey, Arthur J Ragauskas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27()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6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