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조절 세포 억제와 항암 면역반응 강화
- 전문가 제언
-
암세포는 종양-연관 항원 분자의 생산으로 이끄는 돌연변이를 지니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면역계는 반응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 반응은 암을 유발하는 변화를 겪은 세포를 제거한다. 그러나 종양은 종종 면역반응을 비틀음으로써,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들 반응을 사그라지게 하는 것과 연관된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이 작용을 회피한다. 전형적으로 이것은 암세포가 조절기능을 하는 면역세포―조절(regulatory) T 세포와 골수-유래 억제 세포 같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수반한다.
Ali 등(Nature 510; 407)은 종양이 면역반응 회피를 위해 세포 내 효소 phosphoinositide-3-OH kinase δ(PI(3)Ks)의 작용이 필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들은 또한 이 효소를 억제하면 면역 조절 세포의 억제 활성이 차단되며, 따라서 항암 면역반응이 강화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PI(3)Ks는 세포 외 신호의 세포 내 증폭과 그에 따른 많은 세포 기능들―증식, 이주 및 대사 제어를 포함한―에 연루되어있다. 돌연변이형 PI(3)Ks는 종종 암 형성을 직접 조종하며, 또한 종양을 둘러싸고 있는 세포에서의 그들의 기능은 암 성장을 간접적으로 유리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PI(3)K의 p110δ 아이소형인 PI(3)Kδ는 림프구와 골수세포를 포함한 백혈구에서 주로 발현된다. 예를 들어 PI(3)Kδ는 림프구 증식과 이주에서 기능을 하며, 이들 세포에서의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과 무통 B-세포 림프종 같은 암과 관련되어있다.
- 저자
- Emilio Hirsch and Francesco Novelli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510()
- 잡지명
- Natur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42~343
- 분석자
- 오*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