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고장력 강판의 레이저용접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와 안전도 향상을 목적으로 최근 1,000MPa급 이상의 고강도 강재가 차량 소재로 적용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최근 보론이 첨가된 1,400MPa급의 고강도 강 소재가 차체부품 및 범퍼 빔용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들 고강도 강재의 자동차 차체 적용의 확대를 위해서는 강재의 강도 증진과 더불어 성형성과 용접성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 레이저용접은 매우 적은 입열 에너지로 좁고 깊은 용입의 용접이 가능하고 고속용접이 가능하다. 또한 이종재 접합과 로봇화, 자동화가 용이하고 원격용접이 가능하여 아크용접에 비해 정밀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용접결함을 최소화하여 용접부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법으로 그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 이 해설은 일본에서 자동차 차체소재로 고장력강재의 적용동향과 레이저 용접 광원으로 종래의 CO2 레이저에서 파이버레이저로 변천하고 있는 동향, 그리고 스캐너의 적용, 와이어의 공급 적용, 레이저 정형 기술 등에 관해 해설한 내용으로 국내의 자동차 산업에서 고강도 강재의 레이저용접 적용 확대를 위해 매우 유익한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고장력강재를 이용한 TWB(Tailored Welded Blank) 레이저용접 적용기술 및 3차원 레이저 응용기술이 핵심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레이저적용 TWB 기술은 차체경량화, 제조비절감, 충돌안전성과 외관형상 향상 수단으로 기존의 저항 점용접과 아크용접 기반의 자동차 설계 및 생산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기술이다.
○ 현재 국내에서는 600MPa급의 고장력강재에 대한 레이저 적용기술이 실용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리고 1,000MPa급 고장력강재의 DISK 레이저 용접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도 발표되고 있다. 금후 자동차 차체소재로 고장력강재의 레이저용접 적용확대를 위해서는 이 분야의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 많은 데이터의 축적이 요구되고 있다.
- 저자
- 三甁和久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3
- 권(호)
- 61(11)
- 잡지명
- 溶接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1~57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