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험분석에서 복합적 고장 처리방법
- 전문가 제언
-
공정의 위험 시나리오를 파악하기 위해 여러 기법의 공정위험분석(PHA)이 이용된다. 이 위험분석은 가상 시나리오에서 고장의 시초를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고장의 시초는 위험 상황이 확산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원인이 조합되어 시작된다. 고장의 시초는 단지 하나의 원인, 동시에 발생하는 다수의 원인, 혹은 원인 제공자가 있는 시초 원인일 수도 있다. 이 글은 많은 고장 사례를 인용하면서 공정에서 복합적 고장의 의미와 종류, 중요성을 설명하고 PHA에서 처리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앞에서 원인 제공자란 시나리오를 직접 일으키지는 않지만, 그 시나리오가 진행되기 위하여 존재하거나 활성화되어야 하는 사태 혹은 조건을 말한다. 예를 들면, 불능상태로 된 장치(예; 바이패스된 인터록), 방지조건의 무시(예; 시동 중), 장치 고장(예; 경고음), 혹심한 대기 상태(저온), 유틸리티 고장(불활성 가스 공급 중단) 등을 들 수 있다. 원인 제공은 통상 시초원인 이전에 일어나므로 잠재사고라고도 부른다. 원인제공 사태는 시초 고장 혹은 기타 고장(예; 안전장치 고장)과 조합되어 복합적 고장을 일으킨다.
- 저자
- Paul Baybutt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3
- 권(호)
- 32(4)
- 잡지명
- Process Safety Progres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1~364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