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 굴절률 유리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굴절률이 높은 유리는 고배율, 광시야각을 실현할 수 있는 렌즈의 카메라뿐 아니라 현미경과 같은 광학기기 등에 이용되기 때문에 근래 개발경쟁이 매우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굴절률 수치를 높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고, 파장분산 특성이나 렌즈에 중요한 색수차 문제에 대하여도 주의를 경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어 Bi나 Te와 같은 중금속 원소를 첨가하면 두 성질을 초과하는 고 굴절률 유리는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지만, 파장분산 특성이 크기 때문에 색수차가 강한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 가시영역에 흡수되기 때문에 황색미가 나타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유리 소재는 높은 색 재현성이 요구되는 렌즈제품으로서의 이용은 불가능하게 된다.
광학유리의 파장분산 특성은 굴절률과 아베(Abbe number)수에 의존하여 평가하게 된다. 아베 수가 작아지는 것은 파장 의존성이 큰 것을 의미한다. 시판되는 광학유리는 1.5~1.9 정도의 굴절률, 15~100 정도의 아베 수 영역에 분포하고 있지만, 굴절률이 올라가면 아베 수가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고성능 렌즈용 소재에 있어서는 가시역에서 굴절률 2 이상, 파장분산 특성이 작은(아베 수 20 이상) 영역의 유리를 요구하고 있지만, 시판품 중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 저자
- Matsuno Atsunobu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2(1)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0~71
- 분석자
- 이*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