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을 흡수하고 방출할 수 있는 첨단 태양전지 재료
- 전문가 제언
-
최근, 광학이득(optical gain)을 보여주고 폭넓은 공동공진기(cavity resonators)에 포함되는 저온처리 가능한 재료들이 반도체칩 위에 회로를 집적한 간섭성 빛의 원천으로 사용될 가능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기반도체와 교질의 양자점(colloidal quantum dots)이 이러한 응용분야에 사용될 가장 중요한 후보재료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레이저 광선의 장애물은 2분자 소멸에 의한 고유손실과 높은 전하-캐리어 유동도와 큰 유도방출을 포함하는가 하면, Auger손실과 양자점 내에서의 전하의 이동에 관계된 문제들이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발전의 가능성이 많고, 동시에 광학이득을 갖는 유기-무기 활로겐화 perovskites (CH3NH3PbX3 여기서 X는 Cl, Br, I를 의미)를 소개한다. 이 재료가 갖는 우수한 광 발전 특성인 안정된 자연증폭방출이 가능한 것은, 이 재료가 갖고 있는 큰 흡수계수, 매우 낮은 결함밀도 및 느린 속도의 Auger 재결합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이 재료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시광 스펙트럼(390~790nm)의 조절가능성을 시연한 결과, 이 시료는 균형 잡힌 양극성전하이동특성을 갖는 것을 알았고, 따라서 전기적으로 가동하는 레이저 발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Laurie Donaldson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17(5)
- 잡지명
- Materials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15~216
- 분석자
- 남*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