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혁신의 확산: 고찰
- 전문가 제언
-
○ 환경혁신 분야의 문헌은 대개 확산보다도 정치, 규제, 시장, 기업의 특정 요소에 초점을 둔다. 그러나 환경혁신의 확산을 이해한다는 것은 최근에 어떤 환경혁신이 성숙단계에 들어선 조건 하에서 상당히 중요한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혁신의 확산에 관한 개념을 명확히 하는데 주안을 두었으며, 그리고 최근에 나온 문헌을 검색하여 현재 나타나고 있는 경향을 제시하고 있다.
○ 환경혁신의 확산에 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이 세 단계 서술적 방법론을 적용했다. 즉, (1) 핵심어 식별 및 Google Scholar 데이터베이스와 Publish 또는 Perish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관련 자료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2) 이 데이터베이스를 정량적 분석, (3) 주 연구 흐름 및 질적 접근방법으로부터 학설을 식별.
○ 참고문헌 증거를 적용하여, 환경혁신에 해당 저널과 선행 학자 몇 명을 식별할 수 있었다. 나아가 환경혁신의 확산을 특정지우는 인식공동발판을 식별했다. 더 나아가 시장가설선도, 지속가능성변환 그리고 생태계 현대화라는 세 가지 원리가 환경혁신의 확산을 이해하기 위한 과정에서 선행연구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 환경혁신의 가장 많이 인용한 논문을 검토하여 세 가지 학문(경제학, 사회학, 그리고 경영학)에서 핵심학문과 연구흐름을 식별할 수 있었다. 환경혁신이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렀을 때, 소비자의 행위와 결심처리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이 환경혁신의 확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환경혁신 개념과 혁신이론의 확산 간에 연결고리분석은 앞으로 해야 할 연구과제이다.
○ 한국에서 환경혁신에 관한 연구는 업종, 정책, 법규, 규제, 방법론, 영향, 그리고 세제 등으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환경혁신의 확산에 관한 논문은 찾기가 어렵다. 한국의 환경혁신 분야도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으므로 사회, 경제, 경영, 마케팅 등의 다수학문을 망라하여 확산에 관한 요인을 식별한다면 환경혁신의 도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EmrahKarakaya, AntonioHidalgo, CaliNuu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33()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392~399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