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토양, 농약 및 미생물 다양성
- 전문가 제언
-
○ 토양 미생물들이 질소 고정 등 농작물의 증산과 토양의 성상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생각할 때 화학 농약과 화학 비료의 현황에 대해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선 국내 화학 농약의 사용 실태를 보면 e-나라지료의 통계에 의하면 국내의 농약 사용량은 2002년의 25,000톤을 정점으로 2008년까지는 지속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 또한 토양 미생물의 다양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정되는 화학비료의 사용량이 2008년의 67만 톤을 정점으로 하여 계속하여 감소 추세에 있다. 이러한 화학 비료 사용량을 국가 간에 비교하면 헥타르당 한국이 249kg, 일본이 361kg, 뉴질랜드 309kg에 비하여서는 낮은 편이나 미국의 109kg에 비교하면 아직 높은 편에 속한다. 따라서 미국 수준으로 화학 비료 사용을 감소시키고 이에 대신하여 가축 분비물, 음식물 퇴비 및 유기농 등 생물 농약의 대체 비료의 사용 증가가 권장된다.
○ 생물농약 시장은 2005년 현재 전체 농약 시장의 2.5%에 불과할 정도로 그 비중이 낮은 편에 속하여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생물농약은 동부하이텍, 그린바이오텍 등 30여 개 사가 각종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이 분야 기술 수준은 아직 모방 단계를 벗어나기 어려운 실정에 있으며 독자성이 부족하고 정확한 통계 파악이 어려운 실태이다. 이에 비하여 일본 영국 미국의 3개 국가가 세계 시장의 80%을 차지하고 매출액의 성장 속도가 15~20% 정도의 고속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 이와 같은 국내외의 실태를 감안할 때 토양 미생물의 다양성을 지속하고 토양의 기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토양에 적합한 미생물 균주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제품에 대해서도 엄격한 효능 시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Carsten Suhr Jacobse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27()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5~20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