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방사선 내부피폭의 방호에 사용되는 선량

전문가 제언

내부피폭선량은 방사선측정기로는 측정하지 못하고 생리동력학 모델(biokinetic model)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내부피폭선량은 인체의 생리학적, 해부학적 특성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본질적으로 정확한 평가를 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체내에 섭취된 방사성물질은 핵종 및 화합물에 따라 농도와 붕괴특성뿐만 아니라 물리, 화학적 성질이 각각 다르므로 정확한 피폭선량의 평가에는 어려움이 많다.

 

내부피폭 방호는 방사성물질을 흡입 또는 섭취한 개체가 섭취한 방사성물질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받는 총 피폭선량을 규제함으로 달성될 수 있다. 방사성물질이 체내에 섭취되면 방사선을 인위적인 방법으로 차단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섭취된 방사성물질에 의해 일정기간 동안 받을 것으로 예측되는 총 선량 즉, 예탁유효선량을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국제 방사선방호위원회(ICRP)에서는 방사성물질의 전신 거동을 기술하는 모델로 사람 및 동물의 관찰 데이터와 물질대사를 관장하는 생리기능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을 망라한 소위 생리학적 물질생리동력학 모델의 개발을 검토하고 있으며 고전적인 격실모델(compartment model)을 대체하여 Sr, U, Pu 등 몇 개의 원소에 대한 생리학적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이 모델의 개발이 완료되면 유아를 포함하여 대중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내부피폭선량을 평가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ICRP에서 개발된 생리동력학 모델은 서양인 체형을 기준으로 하여 개발된 모델이며 우리나라 사람은 서양인과 체형이 다르므로 모델의 보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양대,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방사선진흥협회 등에서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방사선의 내부피폭이 국민 보건에 미치는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이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Nobuhito ISHIGUR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3
권(호)
62(7)
잡지명
Radioisotop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65~492
분석자
이*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