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표준에 대한 보다 좋은 접근방법
- 전문가 제언
-
기술표준은 어디서나 접할 수 있으며, 기술표준은 소비자들에게 무선 네트워크로 깔끔하게 소통케 하거나 또는 생산자들에게 복잡한 전반적 공급 사슬을 통해 상품획득을 허용한다. 이들 표준은 SSOs(standard-setting organizations; 표준설정기구)와 엔지니어(engineers; 공학자), 학자(academics), 법률인, 그리고 행정가들이 참여하여 구체화한다.
표준화는 사용자들에게 고립(독자)기술(orphan technology)에 집착하지 않는다. 대신에 네트워크 외부효과로부터 이득을 취한다. 기술의 가치는 기술을 사용하는 다른 사람들의 수에 의존한다. SSOs는 이 처리에서 3가지 역할을 한다. 첫째, 엔지니어는 주어진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식별한다. 둘째, 절대적으로 우수한 기술을 있을 수 없고 상충되는 기술은 존재한다. 셋째, SSOs는 회원의 행태를 규제하는 방법을 찾는다.
표준에서 구현되고 있는 IP(intellectual property;지식자산)는 불행한 결과로 이끄는 2가지 근본적인 특성을 지닌다. 하나는 많은 경우에 새로운 기술이 다른 기업에서 나온 넓은 집합체의 특허에 의해 포함되는 경향이 있다. 둘은 많은 경우에 주어진 기술문제를 해결하는데 다수 접근방법이 존재한다. 의사결정이 이루어진 후에 어떤 특허는 표준을 실천해야할 필요가 있는 어떤 특허 즉, SEP(standard-essential patent; 필수표준특허)가 된다. 특허소유자는 높은 사용료를 요구할 수 있다.
- 저자
- Lerner, Josh and Jean Tirole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343()
- 잡지명
-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972~973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