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그리드에서 ZigBee를 이용한 태양광발전과 풍력에너지계통 감시 및 빌딩/홈 에너지관리
- 전문가 제언
-
○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접목하여,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여,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차세대 전력망이다.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ASM(Advanced Smart Meter), 분산형 전원(DER: Distributed Energy Resource), 실시간 전기요금제, 전력망의 자기치유(Self Healing) 기능, 신재생에너지 생산, 판매기능, DC전원공급체계, 전력품질 선택 등의 기능을 갖게 된다.
○ 스마트 그리드 실현에는 양 방향통신이 중요한데 최근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기술로 이를 쉽게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기술은 IEEE의 ZigBee, WiMAX 및 WLAN(Wi-Fi)기술, GSM 3G/4G Cellular, DASH 7 및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적용되고 있다.
○ 특히 ZigBee는 저비용, 저전력, 낮은 데이터 속도 및 낮은 복잡성의 무선통신기술로서 BEMS/HEMS(빌딩/홈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재생에너지 모니터링에 적합하다. 특히 ZibBee는 저전력소비와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 없어 배터리의 장기간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스마트 그리드 계통에서 특히 관심을 갖고 개발되고 있다. PHEV (Plug-in Hybrid Electrical Vehicle), 분산 발전 및 변전소 제어와 보호를 위한 ZigBee 기반 솔루션이 IEC, EPRI와 같은 표준기구와 함께 개발되고 있다.
○ 국내의 경우 산자부 산하에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을 발족하여 스마트 그리드 사업을 체계적으로 육성·지원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세계최초의 국가단위의 스마트 그리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중 지능형 소비자 분야는 1단계는 실시간 가격정보 기반 구축을 목표로, 2단계의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기반 DR(수요반응)시스템 구축을 거쳐, 마지막 3단계는 AMI기반 자동전력거래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력망 제어, 정보전달, 실시간 정보전달 기술 등 ZigBee와 같은 통신기술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N.C. Batist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3
- 권(호)
- 49()
- 잡지명
-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06~315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