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극성 수소원자의 수소결합은 가능한가?

전문가 제언

수소결합은 HF, H2O, NH3의 경우와 같이 전기 음성도가 큰 F, O, N 원자에 수소가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에서 형성되는 분자간의 결합이다. 이들 화합물의 분자에서 수소는 양극을 띄고 F, O 또는 N은 전기 음성도가 큰 관계로 음극을 띄어 각 분자는 쌍극자(dipole)를 이루어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 지금까지 비극성 수소원자를 가지는 분자들의 경우 수소 결합이 존재하지 않거나 아주 미미하여 무시하여 왔다. 이 연구에서는 중성 수소원자가 수소 결합을 하게 되는 아주 특이한 경우를 발견하고 실험적 및 계산적 조사를 하였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수소 결합에 관한 정의와 논의는 계속 진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주로 언급되어온 수소 결합은 X…H━A(여기서 X와 A는 전기음성도가 큰 원소) 형태로서 X 는 δ- (순간음극) 그리고 H는 δ+(순간양극)이 되어 이루는 극성 수소결합이다. 비극성 탄소원자에 결합된 수소화합물의 경우 C-H…H-C 간의 접촉은 수소결합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접촉은 Solvophobic(용매공포, 소용매성) 및 반데르발스 분산력에 의해 기인된다고 분류한다.

 

한편 H 보다 전기음성도가 적은 원소의 수소화물의 경우 M-H…H 접촉이 있게 된다. 여기서 M은 H보다 덜 전기음성(less electronegative)인 원자인데 이때 형성되는 H…H간의 접촉은 이수소결합(dihydrogen bond)이라고 최근 분류하고 있다. M은 극성이 매우 커서 M-H의 H는 수소음이온성 δ- 순간 음극을 이루고 상대편의 H는 δ+ 순간양극을 이루어 이수소결합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저자
L. Yang, et al.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50()
잡지명
Chemical Communication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212~5214
분석자
전*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