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II)의 유기촉매 광환원에 의한 아연금속생성
- 전문가 제언
-
액체상태인 금속양이온을 환원시키면 고체상태의 금속을 얻게 된다. 금속의 광석은 대부분 산화물 또는 황화물로 존재한다. 광석을 용매에 용해시키면 금속은 양이온이 되며 금속양이온을 환원시키면 금속이 되어 야금의 목적을 달성한다. 이 연구에서는 광환원방법으로 아연(II)이온을 금속아연으로 환원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금속이온을 금속으로 환원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하고 응용가능성이 크므로 광에너지에 의해 금속아연으로 환원시킨 이 연구 업적을 널리 홍보하고자 한다.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금속이온을 금속으로 환원시키는 일은 매우 특이하고 훌륭한 일이다. 이러한 광환원 반응은 일종의 광합성반응이므로 그 응용가능성이 매우 크다. 태양연료의 이용, 유기합성, 금속코팅면에서 곧바로 그 응용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다.
예컨대 광환원 반응을 OH-산화반응과 짝지으면 효과적인 공기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을 전기화학에너지로 저장할 수 있다. 광환원방법으로 적절한 표면에 부착된 금속분말은 반응성이 매우 커서 여러 가지 종류의 유기환원반응에 응용할 수 있다.
- 저자
- A. Brooks,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0()
- 잡지명
- Chemical Communication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196~5199
- 분석자
- 전*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