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 친 유비퀴틴 사슬들에 의한 세포주기 조절자들의 판독 기능들
- 전문가 제언
-
유비퀴틴반응은 다목적의 번역-후 변형 반응으로서, 수많은 세포공정들에 관련 된다. 유비퀴틴(ubiquitin; Ub)은 다단계 효소 반응들인 E1 효소에 의한 활성화, E2 효소들에 의한 접합, E3 리가아제들에 의한 연결로 이어지는 엄격히 조절되는 반응으로서, Ub 및 다른 단백질들의 리신(Lys) 잔기들에 주로 결합된다. 분해 대상 기질단백질은 Ub 한 분자가 결합된 모노유비퀴틴화 단백질 또는 여러 Ub이 결합된 사슬을 갖는 폴리유비퀴틴화 단백질이 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Ub 내부의 7개의 Lys 또는 아미노말단인 1번 메티오닌이 이어지는 반복 접합에 의해 일어난다. 이와 같은 여러 결합부위들을 놓고 볼 때, 서로 다른 구조들을 갖는 실행 가능한 Ub 사슬들의 풀(pool)이 거의 제한받지 않음을 나타내므로 이 체계의 다능성을 말해준다 하겠다. 그러나 현재까지, in vivo에서 제한적 수의 정의된 Ub 구조만이 확인되었고, 연구는 주로 동질체로 연결된 Ub 사슬들에 관한 것들 이었다.
진핵생물들에서 세포주기 조절자들의 파괴는 유사분열의 진행과 출구 과정에 필수적이다. 후기-촉진 복합체/시토크롬(anaphase-promoting complex/ cytochrome; APC/C)는 유비퀴틴화와 이어지는 26S 프로테아좀에 의한 분해의 주요 세포주기 조절자를 표적으로 하는 크고 여러 소단위들로 구성된 E3 리가아제이다. 사람의 APC/C는 Ube2C와 Ube2S의 두 가지 E2 효소들이 기능을 발휘한다. 즉 Ube2C가 APC/C 기질들이 첫 번째 Ub 성분을 준비시키며, Ube2S는 Ub 사슬을 연장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APC/C는 긴 48번 리신(Lys48) 또는 Lys11과 연결된 Ub 사슬들을 촉매하여 기질들을 표적으로 하는 프로테아좀 분해가 일어나도록 할 수 있으므로 E2 접합효소들이 APC/C의 Ub 결합의 특이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 저자
- Jaime Lo´ pez-Mosqueda and Ivan Dikic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57()
- 잡지명
- Cel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67~769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