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제제 개선을 통한 방해석 부선의 새로운 방법
- 전문가 제언
-
이 연구에서 방해석의 부유, 접촉각도, 표면흡수가 추가 격자이온(Ca2+와 CO32-)을 포함하고 있는 수액 내에서 조사되었다. 부유결과는 격자이온을 추가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접촉각도 검사결과는 Ca2+와 CO32-를 사용한 것이 올레산나트륨(sodium oleate)과 억제제와 함께 방해석 표면 소수성에 현저한 감소를 유도한 반면 올레산나트륨이 없을 경우 방해석 표면 소수성에 제한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었다.
흡수자료는 방해석 표면의 칼슘탄산염 코팅이 억제제의 흡수메커니즘을 바꿀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격자이온의 추가가 방해석표면의 반응을 바꾸고 방해석 부유에 대한 억제활동을 개선한다는 것을 제시했다.
방해석은 퇴적물과 퇴적암의 보편적이면서도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하지만 다른 중요한 광물들과 함께 구성될 경우 중요성이 떨어질 경우가 많아 광석과 반드시 분리되어야만 한다. 방해석은 능아연석, 형석, 회중석, 인회석, 천청석의 부유에 있어 가장 광범위한 탄산염 맥석광물(carbonate gangue minerals) 중의 하나이다.
- 저자
- Qing Shi, Qiming Feng, Guofan Zhang, Hong Deng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55()
- 잡지명
- Minerals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86~189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