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미세입자 PM2.5와 중국대륙의 영향

전문가 제언

대기환경기준 물질 가운데 입자성 물질인 미세입자는 공기역학적 직경이 10미크론보다 작은 PM10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2.5미크론 이하의 PM2.5는 호흡기계와 혈관계에 침투하기 쉬워서 인체에 나쁜 영향을 주어 초미세입자로 분류하고 있다.

 

초미세 입자의 생성원으로는 해염, 화산재, 모래폭풍 등 자연적인 발생원과 화석연료의 연소 등 인위적인 발생원으로 구분되는데 최근에는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프린터 등 인쇄기 등의 점오염원도 주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5~2007년 중 덕적도와 제주도에서 초미세먼지에 대한 집중 관측에서 일평균 농도가 각각 25.61㎍/㎥, 17.33㎍/㎥에 이르고 황사가 발생한 2006년 4월 최대값은 각각 188.89㎍/㎥, 50.46㎍/㎥을 기록하고 있다.

 

관측결과, 대륙에서 이동하는 장거리 오염물질의 영향임이 밝혀졌으며 대부분 대륙의 황사나 연무의 영향에서 비롯되었고 최근 정부에서도 초미세 먼지에 대한 예보를 강화하여 건강위해에 대한 경각심을 환기시키고 있다.

 

세계 보건기구에서도 초미세 먼지는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는데, 초미세 먼지 중에는 PAH, 납 입자 등 중금속과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중일 3국간의 공조로 황사에 대한 국제적인 공조연구는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으나, 초미세먼지에 대해서는 아직 중국의 황사 등 장거리 수송에 의한 영향과 우리 국내 현지에서 발생하는 자체 발생분과 각각의 분포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아 발생원에 따른 집중적인 대책수립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어서 체계적인 관련연구와 이 부분에 대한 국제 공조연구가 시급하다고 본다.

저자
Naoki KANEYASU, Kei SATO, Akinori TAKAMI, Takehiro HIDEMORI, Yutaka MATSUMI, Shigekazu YAMA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9(S1)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2~94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