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페닐프로판올아민과 슈도에페드린 성분의 안정성은?

전문가 제언

2000년 가을에 미국 식품의약품국(FDA)에서 시판약이나 처방전 약인 감기약에 널리 함유한 폐닐프로판올아민(PPA, Phenyl propanol amine)과 뇌출혈과의 인과관계를 인정되었다. 그래서 PPA를 함유된 제품은 미국 내에서 회수를 명하였다.

 

그 후, 2002년 5월에 일본 후생노동성은 일반용 의약품인 비염용 내복약과 진해 거담약 승인 기준성분인 PPA를 슈도 에페드린(PSE, pseudo ephidrene) 염산염과 황산염으로 새로 바꿀 것을 제안하였다.

 

단, FDA에 보고된 증례(질병사례) 중에서 4건은 뇌출혈이나 거미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을 일으키는 증례이지만, 어느 것이나 10~20대 젊은 여성이며, 그중 3건은 결정된 용량의 2~7배를 한 번에 복용한 직후에 심한 두통 등을 호소하였다.

저자
Kimihiro OKUBO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65(3)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31~433
분석자
이*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